Prometheus + Node Exporter 연동하기
💻기술/DevOps

Prometheus + Node Exporter 연동하기

반응형

 

요약

 

 프로메테우스는 오픈소스 시스템 모니터링 툴이다. 쿠버네티스 환경을 운용하는 시스템이라면 프로메테우스를 사용하라고 권장할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프로메테우스가 매트릭 수집을 하기 위해서는 익스포터라는 프로세스를 두게 된다. 다른 모니터링 툴과 다른 점은 push가 아닌 pull 방식으로 매트릭을 수집한다는 점이다. 이때 익스포터 서버는 전송 스케줄 부하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프로메테우스 설치&실행

 

맥 OS에서 구동될 예정이기 때문에 homebrew를 이용하겠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서 설치 후 실행을 해보자. 이후 http://localhost:9090/ 로 접속해서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brew install prometheus
brew services start prometheus

 

 

Node Exporter 설치&실행

 

http://localhost:9100/metrics 로 접속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뜨게 된다.

brew install node_exporter
brew services start node_exporter

 

프로메테우스 설정

 

homebrew로 설치한다면, brew --prefix 명령어의 ./etc 디렉토리에 프로메테우스 설정 파일이 있다.

nano /opt/homebrew/etc/prometheus.yml

 

targets 항목에 'localhost:9100' node exporter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global:
  scrape_interval: 15s

scrape_configs:
  - job_name: "prometheus"
    static_configs:
    - targets: ["localhost:9100"]

 

프로메테우스 재시작

brew services start prometheus

 

그럼 다음과 같이 적용되게 된다.

 

정상작동

 

 

이로써 간단하게 프로메테우스+익스포터 설정을 마무리 지었다. 보통 여기에 그라파나 시각화 툴을 적용해서 보기 편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반응형

'💻기술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 미니로 홈서버를 구축하며 #2  (0) 2022.07.16
Mac mini로 홈서버를 구축해보며 #1  (0) 2022.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