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라우팅 소개
라우팅은 URI의 정의와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하는 표현 방식을 말한다. 라우팅을 잘 사용하면 견고한 프로젝트와 개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다중 라우팅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기본 디렉토리/파일 형식은 다음과 같다
app.js
- api/
- api.js
- routes/
- users.js
II. 설정 방법
라우팅을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요청을 보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GET /api/users/1
router.get('/api/users/:user_id', users.load);
위와 같이 무식하게 할 수 도 있지만 라우팅으로 분리하여 각 파일별로 기능을 나눌 필요가 있다.
app.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apiRouter = require('./api/api');
app.use('/api', apiRouter);
api/api.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router = express.Router();
const users = require('./routes/users');
router.use('/users', users);
module.exports = router;
api/routes/users.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router = express.Router();
const users = require('../../services/users.service');
router.get('/:user_id', users.load);
module.exports = router;
이렇게 분리할 수 있다.
반응형
'💻기술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odeJS ] winston 콘솔에서 색상 지정하기 (0) | 2022.06.12 |
---|---|
[ ES6 ] webpack 5 자바스크립트 난독화 (0) | 2022.03.22 |
[ 코드보며 배우는 NodeJS ] EJS 초기 코드 (0) | 2020.03.30 |
[ 코드보며 배우는 NodeJS ] 초기 코드 세팅 (0) | 2020.03.17 |
NodeJS 를 공부하면서 든 생각 (0) | 2019.12.14 |